FAT
-
파일 포멧 방식별 최대 지원 용량IT 이야기 2019. 8. 19. 10:41
FAT 포멧 방식 FAT32 포멧 방식 NTFS 포멧 방식 최대 2GByte 지원 최대 32GByte 지원 최대 16TByte 지원 :::: FAT :::: MS-DOS 나 윈도 3.1 시절에는 FAT (File Allocation Table) 을 사용했는데, FAT16 이라고도 불리며 클러스터의 주소 지정을 16bit로 합니다. :::: FAT32 :::: 32GByte 용량 크기 외에는 FAT16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 NTFS :::: NTFS 는 NT File System 의 약자로 32Bit 클러스터의 주소지정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블록 크기를 FAT16 보다 작게 지정할수 있어 1KB/블럭 의 경우 4Tera 까지 4KB/블럭의 경우 16Tera 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
4GB 이상 대용량 파일 이동하는 방법IT 이야기 2019. 8. 19. 10:20
갑자기 여러개의 파일을 USB 메모리에 옮길일이 있어서 USB 메모리로 복사해 붙여 넣기를 했는데, 파일 용량이 커서 이동이 안된다는 메시지가 나타났다. 뭐가 문제일까? 결론적으로 USB 메모리를 NTFS 방식으로 포멧을 해야 이동이 가능하다. 보통 USB 메모리는 FAT 나 FAT32로 포멧되어 있는데 이럴경우 파일 크기가 4GByte를 넘을 경우 파일이동이 되지 않는다. ■ FAT32 파일시스템 방식과 NTFS 파일시스템 방식의 차이점 NTFS FAT FAT32 USB메모리 용량 최소 약 10MB ~ 최대 2TB 보다 큰 용량도 가능 최소 약 10MB ~ 최대 4GB 까지 가능 최소 512MB ~ 최대 2TB 까지 가능 파일크기 USB메모리 용량 최대 2GB 최대 4G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