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돼지고기 부위별 명칭생활 정보 2019. 8. 15. 06:07반응형
우리가 자주 먹는 돼지고기 삼겹살, 목살, 갈메기살등 맛있게는 먹었지만, 이 고기가 돼지의 어느 부위
인지 사실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한번 정리해 보았다.
돼지고기 부위별 명칭 목살
소금구이, 보쌈, 주물럭용으로 적당하다.
여러 근육과 지방층으로 구성돼 풍미가 좋고 육질이 부드럽다.
마리당 2.2㎏쯤 나온다.
- 한가지 돼지나 소의 목살에 예방접종 및 치료 주사로 인한 염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먹는것을 피하는게 좋다고 하네요.
항정살
옛날 도축업자들은 다른 고기는 다 남에게 줘도 항정살 만큼은 자기가 먹었다고 한다.
마리당 200g짜리 2점 정도가 나온다.
옅은 핑크빛을 띄며 지방이 고르게 퍼저 있어 부드럽다.
볼살
'뽈살'로 더 잘 알려진 부위. 관자놀이살이라고도 한다.
숯불에 구워 입에 넣으면 찐득하다고 할만큼 진한 육즙이 배 나온다.
짙은 붉은색 고기가 쫄깃하면서도 부드럽다.
스페인에서는 스테이크로 즐기는 별미 부위다.
꽃살
쇠고기의 꽃등심처럼 지방이 전체에 고루 퍼져있어 구울 때 지방이 고기 전체로 퍼지면서 육즙과 풍미가 높아진다.
꽃살은 돼지 앞다리와 목살 사이에 있다.
마리 당 400g정도 나온다.
낙엽살
돼지고기의 진한 붉은 색 살을 잘랐을 때 잘린 단면이 마치 낙엽 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
일명 '부채살'로도 부른다.
이 고기는 살 한가운데 힘줄이 박혀있다.
쫄깃하게 씹히는 감촉과 부드러운 고깃결이 일품이다.
힘줄에는 콜라겐 함유가 높아 여성의 피부미용에 좋다.
앞다리 어깨뼈 안쪽에 있는 살로, 돼지 한 마리를 잡으면 500g 정도 나온다.
사태
운동량이 많은 부위라 결이 거칠다.
오래 삶거나, 흔히 '민찌'라고 하는 분쇄육으로 적당하다.
장조림, 찌개, 수육용으로 쓰인다.
한 마리에 1.7㎏ 정도 나온다.
삼겹살
한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부위. 살과 지방이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어서 삼겹살이라고 부른다.
지방이 많은 게 흠.
한 마리에서 5.9㎏ 가량 나온다.
가브리살
부드럽고 끝맛이 산뜻하다.
젊은층과 여성들이 좋아할만한 부위다.
등심 앞쪽 끝부분에 있다.
한 마리에서 300g쯤 나온다.
등심
운동량이 적어 부드럽다.
지방도 적다.
체중에 신경쓰는 여성들에게 적당한 부위다.
돈가스나 탕수육에 주로 쓰인다.
마리당 3.5㎏ 정도 나온다.
꼬들살
앞다리살과 갈비 사이에서 나오는 고기.
조직이 굵어 씹으면 꼬들꼬들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꼬들살은 한 마리에 4점(200g) 정도가 나온다.
갈비
등심보다 더 부드럽고 지방이 적다.
길쭉한 덩어리 2개를 합친 무게가 0.5㎏ 정도.
장조림, 돈가스, 꼬치구이, 탕수육에 어울린다.
너무 익히면 퍽퍽하다.
갈매기살
돼지의 뱃속을 가로막는 횡경막과 간 사이에 붙어 있다.
'가로막살'이라고도 부른다.
소로 치면 안창살에 해당하는 부위로 힘살이 많아 쫄깃하다.
한 마리에서 300g 쯤 나온다.
앞-뒷다리
육색이 짙고 지방이 적다.
지방이 적어 건강에 신경쓰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높다.
비타민 B1 등 영양소도 많다.
스페인 하몽, 이탈리아 파르마햄 등 고급 햄의 재료로 쓰인다.
한국에서는 불고기, 찌개, 수육, 보쌈용으로 나간다.
앞다리 4.8㎏, 뒷다리 7.5㎏.
반응형'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된 동전으로 목돈 만들기 (2) 2019.08.26 일본 방사능, 북한 방사능 오염 심각하다. (2) 2019.08.23 잠을 규칙적으로 자면 뱃살이 빠진다? (0) 2019.08.15 자녀에게 "사랑한다" 말하면 건강해진다. (0) 2019.08.15 항생제 부작용에 대해서 (0) 2019.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