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구라트와 스타게이트
    초고대 문명 2019. 7. 19. 09:14
    반응형

     

    고대 역사 속에 거인들은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다. 그들의 문명과 유물의 흔적들이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역사기록 속에 거인들의 이야기는 자주 등장한다. 그런데 이상한 점

    은 그들이 어느날 갑자기 흔적도 없이 모두 사라졌다는 것이다. 정말 마술 처럼 사라졌다.

     

    수메르 문명의 고대 석판에 나와 있는 신의 문(스타게이트)

    그들은 과학 문명과 초거석 문명을 이룩하였는데, 거인들이 사라진 이유 중에 하나가 그들이 하늘의

    별을 관측하였는데, 어떤 별의 징조를 보고 거인들이 모두 고인돌 속으로 사라졌다는 것이다.

     

    일종의 스타게이트와 같은 차원 이동 문을 의미하는것 같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당시에 돌로 만든

    공간 이동을 할수 있는 게이트들이 있었으며 특정 사건으로 인해서 거인들이 모두 게이트를 통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을 했다고 생각할수 있다.

     

    수메르 문명에 나와 있는 신의 문(스타게이트)

    이런 전설을 뒷받침 할만한 흔적들이 있는데, 바벨탑에서 바벨이라는 말이 "신의 문"이라는 뜻이라고 했다.

    이라크에는 수메르 문명과 바벨론 문명등이 존재했었는데 이 두 문명에 스타게이트 즉, "신의 문"으로 불렸던

    문들이 존재했었다고 한다. 바벨탑은 지구라트를 말하는데, 보통의 지구라트 보다 훨씬 크게 지은 지구라트를

    바벨탑이라고 불렀다 한다.

     

    바벨론 문명의 신의 문(스타게이트)

    그런데, 여기서 재미있는 음모론이 하나 있다. 예전에 연합국과 이라크간의 전쟁이 있었는데, 미국이 주축이

    되어서 이라크 내에 숨겨진 대량 살상무기들을 접수하기 위해 시작된 전쟁이었는데, 전쟁이 끝난후에도 대량

    살상무기는 발견하지 못했다. 그래서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부시도 대량 살상무기가 이라크에 존재치 않았

    었다고 인정했다. 미국이 전쟁을 한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질만한 내용이

    하나 있는데, 그게 스타게이트다.

     

    이라크에 있는 지구라트

    이라크 전쟁이 끝난후 가장먼저 미군들은 이라크내에 있는 지구라트 및 고대 유물들에 대한 보호경계를

    수행한다. 

     

    이라크에 있는 지구라트에 진입하는 미군 병사들

     

    지구라트 경계근무를 서는 미군 병사들
    사담 후세인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은 이라크 전쟁전 여러 차례 바벨론 왕국의 스타게이트를 가동시키려고 몇차례

    시험을 했지만, 모두 실패했다고 한다. 그후 얼마 안있어서 이라크 전쟁이 발발하고 사담 후세인은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영화속 스타게이트

    미군이 전쟁이 끝나자 마자 가장 먼저 달려간 곳이 바벨론 문명 유적지였다고 하는데, 그곳에서

    스타게이트 유물을 발견한것 같다. 그후 미군이 그것을 가동시키는데 성공했는지 여부는 모르지만

     

    영화속 스타게이트

    역사속에서 지구라트는 각 도시의 중앙에 위치해 있었으며 신관들이 지구라트를 전담해서 관리했다고 한다.

    지구라트는 신들이 내려와 축복을 내릴수 있도록 만든 건물이었다고 한다. 지구라트가 일종의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게이트였으며 그 이동하기 위한 공간이 어디인지는 아직 밝혀진게 없지만, 고대에 다른 공간

    으로 이동할수 있는 문들이 존재했었다는 이야기들은 각 고대 문명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세계 각지에 존재하는 고대 스타게이트

    세계 각지에는 고대 문명들이 사용했던 스타게이트(차원이동 문)들이 존재한다. 고대 문명간의 전쟁들 가운데는 이 스타게이트를 차지하기 위한 전쟁들이 있어 왔다고 한다. 지금은 여러 문명의 흥망성쇠 속에서..

    porori7.tistory.com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