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는 시한폭탄이 있었다초고대 문명 2019. 8. 3. 09:39반응형
임진왜란 당시 전장에서 활약한 조선의 비밀무기가 있었는데, 이 무기는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는 기회
를 만들어 주었다.
조선의 비밀무기 비격진천뢰 이 비밀무기는 시한폭탄이었다. 심지에 불을 붙여 적지에 던지면 일정 시간후에 폭약이 터지는 지연신관 기능이
있었다. 폭약이 터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었으며 폭탄의 크기를 조절하여 손으로 던지거나 또는 크기가 크면
박격포 처럼 포탄을 멀리까지 날려 보낼수 가 있었다.
비격진천뢰의 구성품 이 무기를 개발한 사람은 임진왜란 당시 화포장 이었던 이장손이다. 그럼 이 무기의 위력이 어느 정도였는지
알아보자. 당시 기록에 의하면 일본군이 밀집해 있는 적진에 이 쇠로된 폭탄을 던져 넣었는데, 일본군인들이
주위로 몰려들어 구경하고 발로 차며 놀았다고 한다. 아무런 반응이 없어 모두 안심하고 있던 순간 폭탄이
큰 굉음을 내며 터져 주변에 있던 수십명의 일본군이 그 자리에서 즉사 하였다고 한다.
비격진천뢰의 내부 이 무기를 비격진천뢰라고 하였는데, 2차 경주성 전투에 처음 사용되어 성을 탈환하였다 한다. 그후 이순신의
함대가 웅포해전에서 육상의 일본군을 공격할 때 사용했고, 진주성 1차, 2차 전투에 사용했으며 남원성 전투
에도 사용되는 등 전장에서 널리 활용하였다.
비격진천뢰의 구성 및 동작 역사스페셜에서 이 비격진천뢰를 재현해봤는데, 조절한 시간이 지나자 폭음과 함께 엄청난 양의 파편을 뿌리며
폭발했으며, 철편이 바위에 박힐 정도였다고 한다. 대인 제압용으론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는 무기이다. 보병들이
밀집 대형을 이루어 전투를 하던 당시에는 파편탄을 방어한다는 개념이 없었기에 일본군에겐 상당한 위협이었
을 것이다.
비격진천뢰를 발사하는 방식 임진왜란 당시에 활약한 비격진천뢰는 조선군의 수적 열세를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는 미사일이 있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파상공세에 후퇴만을 거듭하던 조선군은 육상에서의 패배를 해상에서 만회하고 있었는데, 그 중심엔 이순신 장군이 있었다. 일본군의 진격 속도가 빨라 17일 만에 평양성까지 점령하였는데..
porori7.tistory.com
반응형'초고대 문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는 탱크가 있었다. (0) 2019.08.06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는 미사일이 있었다. (0) 2019.08.04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는 비행기가 있었다. (0) 2019.08.02 고대 그리스의 발명왕 헤론 (0) 2019.08.01 고대 문명에 레이저 가공 기술이 있었다? (2) 2019.07.31